이 글은 한국 외대 통역대학원 전임 교수로 재직하고 계신 곽중철님의 저서 'YTN 위성통역실의 CNN 리스닝'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YTN 통역사들이 영어를 공부하면서 청취력을 늘려간 개인 경험을 수기 형식으로 썼습니다. 중복되는 내용도 있고 상충되는 부분도 있지만 여과 없이 독자여러분께 전달합니다. 저 역시 얼마전에 토익 900점 넘겼어요. 근데 아직도 CNN이나 AFKN을 보면 못알아 듣는게 너무 많아서 한숨만 나옵니다.^^;; 리스닝의 중요성을 아주 강조한 글입니다.
미국 사람이 말을 하면 하나도 모르겠는데, 그 말을 글로 써놓으면 너무 쉽다며, 어떻게 해야 리스닝을 잘 할 수 있는지 묻는 사람이 많다. 아마도 이것은 비영어권 국가에 살면서 영어를 익혀야 하는 모든 이들의 최대 고민이며 관심사일 것이다.
내가 영어를 처음 접한 것은 초등학교 6학년 때, 일주일에 한 시간씩이던 영어수업은 그리 재미있지 않았지만, 중학교에 들어와서는 남들보다 조금 일찍 영어를 접한 덕분에 영어시험이 말 그대로 누워서 떡먹기였다. 그러면서 영어에 흥미를 갖기 시작했다.
중학교 때부터 FM을 듣기 시작한 나는 집에서는 항상 라디오를 켜놓았다. 좋아하는 팝송 가사를 구해 따라부르거나 아니면 소리나는 대로 우리말로 적어 불렀다. 또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뉴질랜드인과 영국인 펜팔과 편지를 주고받았다. 물론 영어편지쓰기 안내책과 한영사전을 놓고 문장을 베끼는 수준이었지만, 5년 넘도록 같은 일을 반복하니 나도 모르는 사이에 영작실력은 눈부시게 발전했다.
고등학교 때 한번은 짝사랑하던 영어 선생님께 영어로 편지를 쓴 적이 있는데, 선생님이 그 편지를 수업시간에 읽어주며 크게 칭찬하시는 바람에 그 황홀감에 밤잠을 설친 적도 있다.
나는 친구들과 달리 문법을 먼저 공부하지 못했다. 방학이면 친구들이 이런저런 문법책을 뗐다고 자랑했지만, 나는 수업시간에 배운 것 외에는 따로 공부하지 않았다. 시험볼 때도 문법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감으로 찍으면 맞는 경우가 많았다.
내 발음이 정확해야 영어도 들린다
이렇게 재미있어서, 그리고 필요해서 꾸준히 접해오던 영어를 지금은 생업으로 삼고 있지만 아직도 영어에 좌절감이 들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하지만 일반인들보다 영어를 조금 더 많이 접한 사람 중 하나로 개인적인 경험에 비춰 몇 가지 도움이 될 만한 것들을 적어 본다.
영어의 소리는 우리말과 다르다. 영어는 영어식으로 발음하자.
나는 '말하기와 듣기는 뗄 수 없는 관계'라고 믿는다. 따라서 리스닝 실력을 키우려면 자신의 발음과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게 중요하다.
종종 영어를 한글로 표기하거나 한글을 영어로 표현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한글은 어떤 문자보다 다양한 발음을 표현할 수 있지만 외국어 발음에 대한 완벽한 표기는 역시 불가능하다. 박찬호의 '박'은 Park이 되지만, park을 우리말로 표기할 때는 '파크'가 되는 예를 들 수 있다. 한 언어학자는 영어의 우리말 표기법이 우리 나라 사람들의 영어실력을 한없이 뒤쳐지게 한다고 주장했다. 영어를 우리말 식으로 발음하면 영어는 방언으로 밖에 들리지 않을 것이다.
내가 정확하게 발음하지 못하면 외국인의 말을 알아듣기도 어렵다. 내가 아는 것과 들리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내 경우는 팝송 가사를 소리나는 대로 받아적거나 들리는 대로 따라부르면서 단어의 정확한 발음기호와 강세에 주의했던 것이 후에 큰 도움이 되었다.
어휘를 늘려야 한다.
발음이 정확하고 소리는 잘 들어도 단어의 뜻을 알지 못하면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다. 즉 소리는 들리는데, 뜻을 알 수 없는 것이다. 많이 알수록 많이 들린다. 가능하면 어려운 말보다는 쉬우면서도 자주 쓰는 단어와 관용어구를 익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고등학교 시절 머리 속에 남았던 것은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도 또렷하게 기억할 수 있듯이, 젊을 때 왕성한 기억력으로 어휘를 익혀 두어야 할 것이다. 영영 사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좋다.
많이 듣고 말하는 실전경험을 늘려야 한다
영어는 말이다.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이지, 수험용이 아니다. 문법이나 어휘를 많이 안다고 해서 반드시 의사소통을 잘하는 건 아니다. 외국인과 마주치면 알고 있던 것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도 많다. 실력 부족을 자책하거나 부끄러워 할 일이 아니다. 용기를 내어 외국인과 직접 부딪쳐 보고, 더 나아지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리스닝뿐만 아니라 영어를 잘하는 방법은 영어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계속 사용하는 것이다. 영어학습은 듣기와 말하기, 읽기와 쓰기 등 따로따로 분리해서 논할 수 없다. 따라서 리스닝만을 따로 떼서 공부하기보다는 위의 4가지를 병행해서 총체적으로 학습해야 한다.
기회가 된다면, 영어권 국가에서 생활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상당한 기간이 아니라면 어학연수는 그 나라 문화를 이해하는 정도의 도움밖에 주지 못하기 때문에 어학연수를 못 간다고 해서 억울해 할 것은 없다.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으면서 왕도만 찾는다면, 영어는 영원히 고통스런 숙제로 남게 될 것이다. 꾸준히 즐기면서 배우자!
============================================================================== 책 속에 길이 있다!
책 한 권에 투자해서 낡아 떨어질 때까지 읽고 또 읽자
김현수 (이화여대 사회사업학과, 통역대학원)
아는 단어만 들린다
CNN 통역을 한 지 벌써 4년째, 아직도 영어가 잘 안 들리고 뜻을 몰라 헤매는 일을 가끔씩 겪는다. 그래서인지 리스닝 비결에 대해 글을 쓴다는 것이 정말 쑥스럽기 그지 없다. 사실 나는 중학시절을 영어권 국가에서 보냈기 때문에 영어를 생활 속에서 자연스레 습득한 경우에 속한다.
국내파는 어떻게 공부해야 자연스럽게 영어 청취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체계적 학습법은 차치하고, 재미있게 영어를 배웠던 나의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우선 영어를 잘 듣고 이해할 수 있으려면 전제조건으로 어느 정도의 어휘력이 요구된다. CNN 뉴스를 듣다 보면 가끔씩 모르는 단어나 숙어가 나온다. 물론 이럴 땐 대충 들리는 대로 철자를 유추해서 사전을 찾아보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때론 열번 백번을 들어도 안 들리는 부분이 있다. 이때는 정말 진땀이 난다. 나중에 동료의 도움을 받아서 그 단어를 알게 되었을 때야 비로서 깨닫게 된다. '이거 정말 내가 몰랐던 단어잖아!'라고. 아예 모르는 단어이니 안 들릴 수밖에.
한번은 '케셰이'라고 들리는 단어가 튀어나왔다. '케셰이? 이게 뭐지?'하면서 사전을 들었다. kasay도 찾아보고 caisei도 찾아보고 생각해 낼 수 있는 모든 철자를 유추해 사전을 뒤져봤지만 도무지 찾을 수가 없었다. 한참을 헤매다 결국 선배 통역사에게 SOS를 쳐서야 문제의 단어를 알아낼 수 있었다. '공식 인가의 표시' 내지는 '우수성'이라는 뜻을 가진 cachet였다. 마지막 t가 묵음인 불어를 영어에서 찾으려 했으니……. 그 선배는 시사잡지에서 이 단어를 봤는데 발음이 특이해서 기억에 남았다고 했다. 결국 어휘력의 차이 때문에 같은 단어를 한 사람은 알아 듣고 다른 사람은 못 알아들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어휘력은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단어집을 사서 무조건 외운다? 물론 그것도 도움이 되겠지만 추천하고 쉽지는 않다. 억지로 외운 단어는 단기적으로는 도움이 되겠지만 금방 잊어버리고 만다. 어디 그뿐인가? 단어 하나에 예문 하나만 달랑 외워봐야 정작 문맥 속에서 언제 어떻게 쓰는 단어인지 잘 몰라 제대로 활용할 수도 없다.
욕심은 금물, 만만한 책부터 도전하라
정말 머리 속에 오래 남고 나중에 응용할 수 있는 어휘력을 기르려면 평소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 그것도 아주 많이. 여기서 책이란 부담없이 항상 들고 다니며 틈 날 때마다 장소를 가리지 않고 읽을 수 있는 소설류를 말한다.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책을 읽겠다고, 난생 처음 보는 어려운 단어가 빽빽한 책을 고르면 곤란하다. 사람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난해한 책은 즐거운 마음으로 보기 힘들다. 또 억지로 읽은 책은 머리 속에 잘 남지도 않는다. 따라서 쉽고 재미있어 술술 읽혀지는 책을 골라야 한다. 그것이 설령 통속 연애소설이라도 상관없다. 요즘은 환율이 높아 원서를 사서 읽기엔 부담이 많이 들 것이다. 그렇다면 과감하게 딱 한 권에 투자하라. 그 한 권이 낡고 떨어질 때까지 읽고 또 읽어 자신의 것으로 만들자. 영어책 한 권이 자신의 것이 되는 순간, 청취력에도 괄목할 만한 변화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청취력을 늘리는 데 웬 독서냐구?
단, 영어책을 읽을 때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모르는 단어가 나올 때마다 사전에 손이 가서는 안된다는 것! 사전을 찾아보기 전에 항상 앞뒤 문맥으로 뜻을 파악해 보려고 노력하는 것이 좋다. 그러다 보면 정확한 뜻은 모르지만 문맥상 대충 이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뜻을 몰라도 전체 줄거리를 파악하는 데 아무 지장을 주지 않는 단어들이 있다. 이런 단어들도 일단 표시만 해놓고 넘어가자.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한번 정도 읽은 다음, 그 뜻을 찾아봐도 늦지 않다. 사실 모르는 단어가 나올 때마다 사전을 찾으면 재미가 반감되고 집중도도 떨어져 다 읽고 나서 사전을 읽은 것인지 소설을 읽은 것인지 헷갈리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재미이다. 영어책 읽기, 이건 정복해야 할 산이 아니라 재미있는 놀이가 되어야 한다.
책을 다시 읽을 때는 표시해 두었던 단어들의 뜻뿐만 아니라 발음을 사전으로 꼭 확인해 두어야 한다. 실제로 나도 tout라는 단어를 불어식으로 '투트'라고 읽었다가 망신당한 적이 잇다. tout의 정확한 발음은 '타우트'인데, 이 단어를 책에서 처음 접했을 때 발음을 확인하지 않고 그냥 넘어간 것이 화근이었다.
혹자는 '영어 청취력을 늘이는 데 웬 독서?'라며 의아해 할 수도 있다. 물론 청취력을 기르려면 많이 들어야 한다. 그런데도 내가 독서를 강조하는 이유는 바로 독서가 청취력의 밑거름이 되기 때문이다. 앞서 말했듯이 사실 단어도 알아야 들리는 것이다. 그 단어를 부담없이 효울적으로 익힐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책읽기이다.
게다가 독서는 영어권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 리스닝을 하다가 단어는 다 드리는 데 통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는 사람을 보면 영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기초가 부실한 것이다. 독서를 많이 해서 기초부터 튼튼히 다지자. 공부도 하고 재미도 있고. 이보다 더 좋은 리스닝 향상법은 없다고 확신한다. 한마디로, 책 속에 길이 있다!
================================================================================ 영어는 뿌린 대로 거둔다!
리스닝은 양보다 질 매일 꾸준한 연습이 관건!
송연석 (연세대 영문과, 통역대학원)
한국사람이 영어 못 듣는 것만큼 자연스런 것이 있으랴
우리가 '투캅스' 같은 영화를 보다가 경찰이나 범인들이 하는 말 중 못 알아듣는 것이 나오면 '뭐지?' 순간 의아해하지만 기가 죽진 않는다. TV 뉴스의 어려운 경제 얘기를 못 알아들으면 경제지식이 부족한 탓이지 우리말을 몰라서가 아니다. 뉴스 보도 중간에 TV를 켰을 때 그 기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건 처음부터 그 내용을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심한 사투리를 쓰는 사람의 말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도 영어로 똑같은 상황에 부딪혔을 때 우리는 100% 알아들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는 듯하다. 리스닝에서 끝장을 보겠노라고 벼르기보다 우선 이런 강박관념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 리스닝을 논하기 전에 먼저 이 말부터 하고 싶다. 내 경험으로는 리스닝이라는 것이 차근차근 연습하면 거기에 정비례해서 귀가 조금씩 뚫려나가는 게 아니라, 망망대해를 헤엄치듯 하염없이 하다 보면 어느날 갑자기 귀가 뻥 뚫리게 되는 것이다.
똑똑한 리스닝이 영어실력을 살린다
소리를 듣기란 쉽다. 듣다가 모르는 단어가 나왔을 때 순전히 소리만으로 그 단어의 철자를 추측해 사전에서 찾아낼 수도 있다. 하지만 내용을 이해하는 건 또 다른 문제다. 피곤할 때 억지로 듣고 있으면 소리는 들려도 그 의미는 한 귀로 빠져 나가게 된다. 바로 hearing과 listening의 차이라고 할까? 문제는 리스닝의 질이지 양이 아니다. 하루 10분을 들어도 그걸 얼마만큼 내 것으로 소화하고 나름대로 요령을 터득하느냐에 따라 엄청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똑똑한 소비가 경제를 살린다는 광고도 있듯이, 리스닝도 마찬가지다. 이제부턴 10분을 100분처럼 듣자!
천하가 다 아는 비법―받아쓰기
그럼 10분으로 몇 시간의 효과를 내려면 어떻게 들어야 할까?
이 땅에 태어나 나름대로 영어공부에 열심이었던 사람들은 대부분 받아쓰기를 권하고 있다. 받아쓰기는 경험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공감하는 비법이다. 이것은 정말로 귀찮고 인내를 요하는 힘든 작업이지만 그만큼 효과적이다. 그런데도 좀더 쉬운 지름길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 안타깝다. 나도 한동안 애써 받아쓰기를 하던 기억이 난다. 대충 아는 단어가 전부 알아들었다고 생각되는 문장도 막상 받아서 놓고 보면 말이 안되는 경우가 많았다. 문장을 듣는 것과 써 보는 건 그만큼 차이가 있다.
처음부터 무리해서 몇 시간 듣느라 기운빼지 말고, 매일 시간을 정해 짧게 듣는 것이 더 좋다. 집중해서 듣다 보면 쉽게 피곤해져 긴 시간 들을 수가 없다. 초보자가 몇 시간을 듣고도 정신이 말짱하다면 그가 건강체질이라기보다는 제대로 집중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리스닝은 양보다 질, 무엇보다 매일 꾸준히 듣는 것이 관건! 매일 듣지 않으면 퇴보한다. 주말에 몇시간씩 테니스를 치는 것보다 매일 30분씩 치는 것이 실력 향상에 훨씬 더 효과적이듯.
첫 출발은 뉴스로
영어에 대한 기초공사가 웬만큼 된 사람이라면 리스닝 훈련은 뉴스로 시작하는 것이 제일 적당하다. 사실 뉴스만큼 어려우면서도 쉬운 것이 없다. 또렷한 표준 발음으로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했는지 설명해주니 흐름을 잘 잡으면 이해도 쉽다. 이 점에서 초보자 리스닝으로 안성맞춤이다. 그러나 뉴스는 항상 새로운 소식이다 보니 흐름을 놓치면 꼼짝없이 길 일고 헤매게 된다는 점에서는 어렵기도 하다. 3년 간 밤낮으로 뉴스만 듣다 보니 생긴 요령인즉, 뉴스는 대체로 6하 원칙이 지켜지므로 이를 염두에 두면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 그 정도의 경지에 오르면 그만큼 듣는 데 여유가 생기게 된다. 사건이 나오면 그 배경, 원인, 또 결과, 앞으로의 전망, 의의 등이 자연히 따라 나오게 된다.
뉴스를 들을 때도 마찬가지로 모르는 단어에 얽매여 전체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한두 단어 모르는 게 나와도 내용을 이해하는 데는 별 무리가 없다. 만약 외국인이 우리 뉴스를 보다가 '…에 귀추가 주목된다', '대결 구도', '차질이 빚어지다'란 말이 나왔다고 그 때마다 '귀추가 뭐지?', '구도?', '차질이 뭔데?'라고 사전을 뒤진다면 그 리스닝은 단어공부에 그치고 만다.
뿌린대로 거둔다
물론 전체 흐름까지 파악하며 내용을 이해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수차례 좌절을 겪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어만 쓰고 살아왔으니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문제는 얼마만큼의 정성과 노력을 기울여 기초공사를 튼튼히 하고 꾸준히 리스닝을 하느냐 이다. 영어는 정말 뿌린 대로 거둔다.
열심히 하는데 왜 안 되느냐고 반문하기 이전에 과연 내가 '영어의 광야'에 얼마나 씨를 뿌렸는지 다시 생각해 보자. 영어를 전공해 영어로 '밥 벌어 먹고' 사는 지금도 나는 이따금 영어의 끝은 어딘지 회의를 느낀다. 하지만 그건 어차피 한국인으로서 겪는 당연한 고민이다.
내가 영어에 회의가 느껴질 때는 그동안 뿌린 씨가 다 떨어져 더 많은 씨를 다시 뿌려야 할 시점이 됐다는 뜻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오늘도 나는 짬을 내서 맘에 드는 뉴스 하나를 골라 받아 적어 보고 새로운 표현이 나오면 정리해 둔다. 자꾸 뿌려야 계속 결실을 맺을 수 있을테니까.
====================================================================== 좋아하는 분야를 영어로 파고들자!
토플 L/C 6문제 맞은 오기로 시작한 AFKN. 록 음악과 미식 축구로 영어공부의 새 길 열어
오성호 (외대 영어과, 통역대학원)
'리스닝, 어디 두고 보자'
영어 리스닝에 관한 글을 쓸 때면 항상 떠오르는 일이 있다. 1986년 대학 2학년 1학기였다. 기말고사를 TOEFL L/C로 대체한다는 것이었다. 남들이 '토플, 토플'해서 그 이름만 몇 번 들어 본 적이 있는 나는 별 생각없이 시험을 봤다. 하지만 나는 처절한 패배감을 맛보아야 했다. 총 50문제 중 6문제를 맞췄다. 더 부끄러운 건 그 중 알고 적은 답은 단 2개였다는 사실.
그전에 나름대로 영어 좀 한다고 우쭐대던 내게 영어가 '아냐, 임마! 넌 아직 멀었어. 니가 무슨 영어를 한다고.'라고 말하는 듯했다. 이 시험은 내게 큰 자극제가 되었다. '매일 답만 맞추는 시험만 잘 보면 뭐하냐? 하나도 못 알아듣는데. 리스닝 어디 두고 보자.'
이렇게 해서 나와 영어 리스닝과의 전쟁은 시작됐다.
모두가 한 번씩은 해 본다는 AFKN
AFKN으로 공부를 시작하고서야 AFKN이 American Forces Korea Network의 약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얼마나 뿌듯했던지. 그런데 일주일 정도 지나자 더 이상 못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인간인데 무슨 말인지도 모르면서 TV 화면만 쳐다보고 있자니, '내 자신이 기계나 다를 바 없구나'하는 비참한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일주일만 더 버텨보자고 다짐했지만, 그땐 텔레비젼을 집어 던지고 싶은 심정이었다.
왜 안될까? 생각다 못해 한 어학원을 찾아가 강사를 붙잡고 물었다. 내가 수강생인 줄로 착각한 그 선생님은 열심히 조언을 해주기 시작했다.
"AFKN에 나오는 내용을 글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읽어서 이해가 완전히 되나요? 아니 완전히는 아니더라도 사전 없이 대강이라도 읽을 수 있는 실력이 된다고 생각하세요? 리스닝은 리스닝만이 아닙니다. 우리 같은 외국인은 반드시 독해를 병행해야 합니다."
'그래, 바로 이거야. 읽어서 모르는 걸 들어서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그 때부터 드라마나 영화의 대본을 구해 읽는 연습을 병행했다.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연습하기를 근 다섯 달. 그제서야 조금씩 들리기 시작하는 게 아닌가! 내가 소리내면서 공부한 단어들을 미국배우들이 직접 말하는 걸 들으니 신기하기까지 했다. 속으로 '짜식들, 니들이 하는 영어나 내가 하는 거나 비슷하네.'라고 우쭐대면서. 들리는 부분이 나오면 미친듯이 좋아했다. 하지만 사실 들리는 것보다는 안 들리는 것이 훨씬 많던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안 들리는 부분에 대해서는 '공부한 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뭘.'이라고 위로해가면서, 서두르지 않고, 하면 된다고 스스로를 격려했다.
관심 있는 분야라면 꾸준히 할 수 있다
영어공부에서 가장 중요한 건 '끈기'라고 믿는다. 하지만 재미없는 걸 꾸준히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찾은 방법이 내가 좋아하는 분야 파고들기!
내 경우는 음악과 스포츠, 특히 록 음악과 미식 축구는 영어에 새 길을 열어준 은인들이다. 노래에는 가사가 있다. 영어 가사를 무작정 따라 불렀다. 그러다 보면 '이게 무슨 내용의 노래일까?' 궁금하게 되고, 또 찾아보게 된다. 록 음악을 좋아하다 보니, 관련 잡지를 사 보게 되고, 특별히 관심 있는 기사는 사전을 찾아가며 밤새워 읽곤 했다.
스포츠도 마찬가지다. 어느 정도 영어가 되는 사람도 스포츠 중계는 꺼리는 경우가 있다. 그 스포츠에 별 관심이 없거나, 룰을 제대로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스포츠가 좋은 사람은 중계를 보는 그 자체가 공부가 될 수 있다. 아나운서의 중계는 잘 안 들리더라도 자막에 나오는 점수나 수치 등은 읽을 수 있다. 화면에 보이는 점수를 아나운서들이 말해 주니 들리는 것이다. '1쿼터까지 댈러스 카우보이스는 어쩌고저쩌고……'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스포츠 중계가 차츰차츰 들리기 시작했고, 그러니 더욱 흥미로울 수밖에.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한마디!
절대로 시험을 잘 보기 위해 영어공부를 한다고 생각하지 마라. 물론 TOEIC 이나 TOEFL 등의 시험에서 고득점을 올리는 것이 목표인 사람도 있을 것이다. 미안한 말이지만, 영어시험의 고득점자는 시험을 위해 공부하는 사람이 아니다. 영어에 흥미와 애착을 가지고 공부하는 사람들이 점수도 높다. 시험만 노리고 영어를 접할 경우, 물론 어느 정도까지 점수를 올리는 것은 가능하다. 하지만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TOEIC 900점 이상 나올 가능성은 거의 없다.
말이란 끝이 없다. 아마 죽을 때까지 한번도 못 들어 보는 우리말도 있을 것이다. 영어도 마찬가지로 평생 해도 다할 수 없다.
내가 대학을 다닐 때만 해도 어학연수는 사치에 가까웠다. 물론 선견지명이나 용기만 있었다면 교환학생제도를 활용할 수도 있었겠지만, 그 당시 내겐 두 가지 모두 부족했다. 그래서 통역대학원이란 관문을 통과하는 데 남보다 불리했지만, 소위 외국물 한번 먹어 보지 않고 영어통역과를 졸업할 수 있었다.
물론 통역대학원을 졸업했다고 해서 감히 영어도사라 자신하지 못한다. 내게 영어는 아직도 눈앞에 우뚝 선 태산이며 정복해야 할 에베레스트니까. 그래도 햇수로 20년이 다 되어가는 즐겁고도 고된 전투 끝에 영어는 고맙게도 내게로 다가왔다. 참 놀라운 경험이다.
여기서 나는 그 경험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과 나누고자 한다. 사람마다 자신에게 맞는 학습법이 있겠지만, 국내에서 청취력을 늘리는 왕도는 하나뿐이라고 감히 말하겠다.
서서히 익숙해지기, 바로 그것이다. 여기에는 상당히 함축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 체계적, 단계별 청취 없이는 10년 공부가 도로아미타불이 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1단계: 백지 상태, 즉 '너 자신을 알라'
영어가 중학교 이상 수준이라면 문장구성에 필요한 기본동사와 몇몇 필수단어는 아는 법. 여기에 소위 말하는 리스닝의 loophole(허점)이 도사리고 있다. 사실 그 정도만 갖춰도 말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영단어 50개로 필요한 모든 의사 표시를 할 수 있다고 장담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듣기에 관한 한 어림없는 얘기다. 리스닝은 의사소통의 선결조건이며, 한 차원 높은 영어세계로의 관문이다. 단어 몇 개 들린다고 정상이 가깝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이제 겨우 에베레스트 밑자락에 서 있을 뿐임을 자각하는 것, 그것이 시작이다.
일례로 '어떤 병원이 여차저차에서 법정소송에 휘말리게 됐다'는 뉴스를 듣고, '마이클 잭슨이 병원에 입원했다'라고 전혀 엉뚱하게 통역한 친구를 본 적이 있다. 왜 이런 번역이 나왔을까? 바로 그의 엄청난 넘겨집기 실력 때문이다. 그 친구는 문장 중에 나온 Jacksonville Hospital을 듣고 모든 걸 유추했던 것이다. 이런 엄청난 우를 범하지 않으려면 hospital 이상의 어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단계에서는 '단어 늘리기가 급선무,' 기반 없는 공사는 부실공사이다. 단, 단어 암기는 최단 기간에 끝내는 게 좋다.
2단계: 문장 속의 숙어를 들어라
예를 들어 Chrysler trucks are as American as apple pie.라는 문장에서 apple pie만 없다면 듣기와 해석은 누워서 떡먹기다. 헌데 난데없이 apple pie라니? as American as apple pie는 관용표현으로 '지극히 미국적'이라는 뜻이다. 이런 관용구는 충분한 독해 속에서 터득된다. 다독과 속독의 바탕 없이는 세련된 뉴스 기사와 시사프로 청취는 불가능하다.
3단계: 뉴스 듣고 받아쓰기
처음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점차 그 시간이 팍팍 줄어드는 것을 피부로 느끼게 된다. 받아쓰기의 목적은 숨어 있는 관사와 목수형 단어 등을 찾아내는 것.
It was as bright as at least a billion Milky Way galaxies or 5 billion of the brightest super novae we've ever seen.
이 예문을 듣고 해석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해도 받아쓰기 과정에서 a billion에서의 관사 a, axies와 novae라는 복수형 단어를 찾아내게 된다. 특히 nova(초신성)의 복수형이 novae인 것은 tenna의 복수가 antennae인 것과 같다. 이렇게 숨어 있던 작은 부분을 찾아내 하나하나 알아가는 과정은 큰 즐거움이며 정확하고 세련된 영어회화 구사에도 훌륭한 밑거름이 된다. 여기가 바로 여러분의 청취력이 비약하는 단계다. 3개월만 꾸준히 하면 CNN 뉴스나 AP 뉴스가 쏙쏙 귀에 꽂히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우리가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는 우리말 역시 유아시절 장시간의 학습과 노력에 의해 이뤄진 것임을 상기해 보면, 영어에 투자하는 시간은 정말 아까운게 아니다. 어린 아이 같은 마음으로 서서히 익숙해지는 과정을 거치면 영어는 다가올 것이다.
나의 경험이 여러분의 등반에 작은 힘이 되길 기원한다.
출 처: 곽중철 YTN 위성통역실의 CNN 리스닝 (주)다락원 1998
====================================================================== 자신에게 맞는 공략법을 개발하자!
리스닝을 위한 기초 발음현상을 익힌 후 실전연습에 들어가자
임경현 (경북대 무역학과, 통역대학원)
나만의 4단계 리스닝 전략
영어의 영역을 세분화해 본다면 문법, 어휘,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로 나눌 수 있다. 이 여섯 가지 영역 중에서 내가 가장 적은 시간을 투자한 부문이 바로 듣기이다.
한 가지 목적을 달성하는 데는 여러 길이 있듯, 듣기를 정복하는 방법도 다양할 것이다. 그러므로 내가 제시하려는 4단계 전략이 왕도라고 고집할 수는 없다. 각자에게 맞는 방법이 있으므로 그저 독자들이 내 방법을 접해 보고 나름대로 수정, 보완을 거쳐 자신의 학습에 가미해 활용하기 바란다.
하나, 듣기의 기초는 발음현상을 아는 데서 시작된다.
우리말도 두음법칙이니, 자음동화니 하는 발음원칙이 있다. 영어도 마찬가지. 일단 영어의 기본적인 발음 패턴을 익히는 것이 첫걸음이다. 방학 내내 하루에 몇 시간씩 이해할 수 없는 AFKN을 보며 귀를 뚫으려 시도하는 학생들도 있는데, 이는 다소 어리석은 방법이다. would have가 [우러브]로 들리는 '축약현상', butter가 [버러]로 들리는 '동화현상', prescription이 [퍼스크립션]으로 들리는 '이화현상', nice shirt가 [나이 셔트]로 들리는 '생략현상', keep on이 [키판]으로 들리는 '연음현상' 등의 기본 발음 패턴을 알아야 한다. 이를 익히는 데는 3∼4일이면 OK.
둘, 독해를 통해 청취력을 향상시킨다.
자, 이제는 발음법칙을 알았으니 리스닝이 두렵지 않다. 읽을 때엔 잘 이해되지 않으면 다시 읽을 수 있다. 그러나 말은 앞으로 되돌려 들을 수 없다. 듣기에 후퇴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우선 글을 읽을 때에도 되짚어 보지 말고 항상 앞을 향해서만 읽어나가도록 하자. 처음에는 힘들지 몰라도 직독직해 습관을 기르기 위해 노력하면 익숙해지는 날이 있다. 그러면 독해가 리스닝이 되고, 리스닝이 독해가 돼 두 부문이 서로 상승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셋, 영문을 듣고 직접 받아쓰는 것만큼 좋은 방법은 없다.
이는 시간과 에너지 소모가 크다. 대안으로 즐겁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영문대본을 보면서 듣는 것이다. 그러면서 앞서 공부한 발음법칙이 실전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점검한다. 하루에 30분씩 열흘만 이 방법을 써도 상당한 효과를 보게 된다. 특히 단어와 단어 사이의 연음이 어떻게 들리는가에 집중하며 들어야 한다.
넷, 어휘력을 보강하라.
예를 들어 He milked two dollars out of me.에서 milk를 들었다고 해도 그 뜻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면, milk에 '뜯어가다, 짜내다'의 뜻이 있다는 걸 몰랐기 때문이리라, 이 문장은 '그 사람이 내 돈 2달러를 뜯어갔다'는 의미.
구어나 속어표현은 관련 서적을 따로 구입해 하루에 20개씩 꾸준히 1년 이상을 익혀야 한다. 처음에는 출현 빈도수가 높은 표현부터 공부한다. 물론 문맥 속에서 표현을 익히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겠지만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린다. 어휘력 보강은 꾸준히 해야 한다. 한 단어를 암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도 최대한 짧게 해야 한다. 한 단어를 외우는 데 10분씩 매달리기보다는 1분씩 10회에 걸쳐 보는 것이 더 효과적.
리스닝도 분야별로 다른 각도에서 접근한다.
뉴스 앵커와 기자가 명확한 발음으로 다소 빠르지만 일정한 템포로 내용을 전달한다. 일단 뉴스는 속도에 익숙해지고 해당기사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다면 그다지 고난도의 청취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뉴스를 듣기 위해서는 시사 영어잡지를 되짚지 말고 앞으로만 읽어나가는 훈련을 한다. 읽는 동시에 내용 이해가 가능해진다면 바로 독해를 통해 리스닝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가 된다.
드라마·토크쇼·영화 드라마와 영화는 연음도 까다롭고 인물들의 대사가 간결하고 함축적이면서도 흥분, 분노, 희열 등 감정이 담겨 있어 알아듣기가 어렵다. 게다가 표준영어에서는 접해 보지 못한 엄청난 양의 구어 및 속어표현이 나오므로 우선 표현을 익히는 것이 선행 내지 병행되어야 한다. 토크쇼의 경우, 논의주제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그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 특정 주제와 관련된 어휘지식이 요구되므로 이들 프로그램을 정복하기 위해서는 인내가 필요하다.
내가 제시한 전략을 근거로 각자에게 가장 잘 맞는 청취법을 개발할 수 있기를 바란다.
=============================================================== Intensive listening과 Extensive listening을 적절히 병행하자!
집중적인 dictation 훈련과 동시에 무작정 CNN을 틀어놓고 영어에 노출되는 시간을 많이 갖도록
정은숙 (서울대 영어교육과, 통역대학원)
몸소 깨달은 리스닝의 중요성
나는 요즘 흔히 하는 말로 이른바 386세대다. 30대의 나이에, 80년대 학번, 60년대 생이다. 80년대의 영어교육은 회화에 그다지 큰 비중을 두지 않아 나는 머리가 굵어서야 공부를 시작했다. 그것도 리스닝의 중요성을 몸소 깨닫고 말이다.
유럽 배낭여행을 갔을 때 일이다. 프랑스인들은 영어를 알면서도 자국어에 대한 자존심 때문에 안 쓴다고들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내가 만난 파리인들은 전혀 그렇지 않았다. 친절해 보이던 경찰관 아저씨마저 영어를 못 알아들었다. 하는 수 없이 머리를 쥐어짜 고등학교 때 배운 불어실력으로 간신히 몇 단어로 더듬더듬 길을 물어 보았다. 하지만 그가 불어로 하는 설명을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했다.
영어도 마찬가지다. 상대방이 한 말을 못 알아들으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없다. 리스닝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의사소통의 필수조건이기 때문이다.
eleven 하나로 시작한 리스닝
나는 지방에서 고등학교를 다닌 터라, 외국인이나 외국방송을 접해볼 기회가 거의 없었다. 그런데 고등학교 2학년 때, TV 안테나에 문제가 생겼는지 우리집에서 전혀 잡히지 않던 AFKN 뉴스가 나온 적이 있었다. 약 20 분 정도를 봤는데 알아들은 단어는 고작 eleven 하나였다. 그때까지 영어에 자신있다고 생각했던 내 자존심은 여지없이 무너졌다. 이로써 내가 얼마나 '영어 귀머거리'였는지를 깨닫게 되었다. 이후 난 대학에서 영어교육을 전공했는데, 교과과정에 있는 영작문이나 영어회화도 역시 형식적인 것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실용영어는 많이 다루지 않았다.
그래서 난 영어 동아리에 들어 리스닝을 공부했다. 선배들이 시킨 건 바로 dictation. 2분짜리 뉴스를 받아쓰면 16절지로 두 장 정도됐는데, 정말 과장 없이 백 번도 더 들었다. 20분 동안 뉴스에서 eleven 하나 듣던 내가, 받아쓰기를 하려니 많이 듣는 것 말고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 덕분에 우리집 녹음기는 남아나질 않았다. 요즘처럼 구간 반복기능이 없던 시절 되감기 버튼에만 의지해야 했기에.
점점 받아쓰기 속도가 빨라지고, 문장의 정확성도 향상되자, 어느 정도 자신감에 차서 AFKN 뉴스를 시작했다. 그런데 이번엔 또다른 문제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단어는 들리는데 문장이 들리지 않았다. 게다가 들리는 단어도 '어, 아는 단어인데 무슨 뜻이더라?'하고 생각하다 보면 수많은 단어들을 그냥 놓쳐버렸다. 리스닝을 잘하는 친구에게 물어 보니 처음엔 word가, 다음엔 phrase가, 그리고 나서 sentence, paragraph가 들린다는 것. 방법은 그냥 많이 듣는 수밖에 없다고.
그래서 이번엔 아예 방에다 TV를 두고 다른 일을 하면서도 AFKN 방송을 틀어놓거나, 우리 나라 방송에서 방영하는 외화도 음성다중으로 맞춰 놓았다. 그러던 어느날 정말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테트리스 게임에 열중하던 중에, AFKN 드라마의 내용이 머리 속에 들어오는 게 아닌가! 무작정 그렇게 영어방송에 파묻혀 있는 동안 나도 모르는 사이에 리스닝 실력이 쌓였던 것이다. 이때 주의할 점은 들리기 시작한다고 곧바로 모든 문장이 한꺼번에 다 들리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 그런데 많이 들을수록 머리 속에서 번역하는 속도가 빨라졌다. 리스닝을 계속하다 보면 어느 순간 자신이 번역을 하는지 안 하는지도 의식하지 못하게 된다. 통역대학원을 나온 친구들이 어떤 정보를 들었는데 가끔은 그게 영어였는지 우리말이었는지 기억이 안 난다고 말하는 걸 종종 듣게 된다. 바로 특정 언어보다는 그 속에 담긴 정보만이 뇌 속에 저장되기 때문이다. 이 글을 읽는 영어 학습자들도 하루 빨리 그런 경지에 이르게 되기를 바란다.
extensive listening과 intensive listening
대학 4학년때 영어교육이론을 배우면서 내가 공부했던 방식이 언어습득에서 중요한 두 가지 방식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리스닝에는 짧은 내용을 집중적으로 듣는 intensive listening과 광범위하게 오랜 시간에 걸쳐 듣는 extensive listening이 있다. extensive listening은 영어에 노출되는 시간이나 양을 늘리는 것으로 TV 시청이 여기에 속한다. 반면 dictation은 단기간 집중해서 들으므로 intensive listening에 속한다. 이런 이론적인 방법들을 일찍 알았더라면 이 두 가지 방법을 적절하게 병행하면서 좀더 효과적으로 리스닝을 할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따른다.
지금가지 리스닝의 산을 넘기 위해 고전했던 내 경험에 비추어 리스닝 비결을 생각해 보았다. 특별히 새로운 것은 없지만 새삼 고개가 끄덕여지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다만 여러분들이 나처럼 시행착오를 겪지 않고, 효율적으로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관사 하나도 빠짐없이 듣자!
언어는 사회·문화의 결정체, 영어권 국가에 관심 가져야
현지연 (외대 스페인어과, 통역대학원)
리스닝이 먼저냐, 스피킹이 먼저냐
누구나 제일 좋아하는 것을 제일 잘하게 마련이다. 좋아하면 자연히 관심이 가게 되고 더 알고 싶어지니까.
아직도 내 머리 속에서 지워지지 않는 건 영어를 처음 접했을 때 느꼈던 떨리는 감정이다. 중학교에 들어가기 전 처음으로 알파벳이란 것을 봤을 때 참으로 신기했고, 또 너무나 흥미로웠다. 그때 난 라디오 방송에서 어린이를 위한 영어회화 프로그램을 듣기 시작했다. 어떻게 그 프로그램을 알았는지 기억나지 않지만 정말 재미있었다는 점만은 잊을 수가 없다. 저녁을 먹고 나면 항상 라디오 앞에 앉아 그 프로그램을 청취하면서 따라해 보라고 할 때는 크게 소리내서 발음하곤 했다. 이런 나를 보고 부모님도 참 신기해하셨다. 어쨌든 그 때부터 영어에 지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언어의 영역은 크게 읽기와 쓰기, 듣기, 말하기로 나뉜다. 외국어를 배우는 사람이 무엇을 먼저해야 하는가를 놓고 씨름하는 것은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를 논쟁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아기가 말을 배울 때는 먼저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순서로 하지만, 외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의 입장은 조금 다르다. 우리 나라는 영어 사용국이 아니기 때문에 영어를 가능한 한 많이 접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사실 중고등학교 때 팝송을 들으면서 영어를 배웠다는 사람도 많이 있다. 이들은 물론 팝송의 가사를 들으려고 노력한 사람들이다. 또 그 시절 좋아하는 노래를 따라부르기 위해 가사를 발음나는 대로 적은 기억도 많이 있을 것이다. 그때 적어 놓았던 것을 지금 본다면 한심한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 이렇게 쉬운 단어도 몰랐다니 하면서 말이다. 그러나 그런 행위들이 쌓여 영어 청취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받아쓰기는 고된 작업
표준발음을 구사하는 뉴스의 경우는 어떻게 보면 가장 듣기 쉽고 편안한 부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1-2분짜리 단신의 경우도 처음 받아쓰기할 때는 몇 시간이 걸릴 것이다. 익숙하지 않은 데다 모르는 단어가 많기 때문이다.
뉴스는 정보의 보고이다. 따라서 제한된 시간 안에 많은 정보를 압축해 표현 하게 되고 게다가 전문용어를 많이 사용한다. 정치나 일반 사회 뉴스는 그렇다치더라도 경제나 의학, 스포츠 관련 뉴스의 경우엔 그 부문에서 다루는 전문용어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이 때문에 뉴스와 관련된 영문기사를 읽어 본 후 받아쓰기를 하면 훨씬 수월하다.
받아쓰기는 고되고 힘든 작업이다. 관사 하나까지 놓치지 않고 들으려고 하면 신경이 곤두서기 때문에 쉽게 지치게 된다. 그러나 꾸준히 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청취력이 많이 향상되어 있음을 느끼데 될 것이다. 처음에 단어 몇 개 들리는 것 가지고 다 들린다고 착각하던 자신이 부끄러워질 것이다.
또 청취력을 늘리려면 단어뿐 아니라 문장을 끊을 수 있는 능력도 길러야 한다. 어디까지가 주부고 어디까지가 술부고 수식어구는 어디에 붙는지 알아야 하는 것이다.
모르는 표현들은 즉시 익혀두자
다시 말하지만 처음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싫증도 나고 중도하차하기 쉽다. 하지만 관사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들으려는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단, 그전에 해야 할 일이 있다. 어휘수 늘리기와 많이 읽기이다. 내 경우엔 단어집에 의존하기보다는 많이 읽으려고 노력했다. 여러 종류의 책과 잡지, 상품안내서 같은 것을 보면서 '이런 상황에선 이런 표현을 쓰는구나'라고 깨달으면서 가능하면 이런 문구들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또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사전을 펼쳐놓고 그 단어가 들어 있는 여러 숙어도 함께 익히는 방법을 사용했다.
숙어와 관용어구를 많이 알아두는 것도 필수, 영화나 드라마, 토크쇼 등을 보면 지극히 미국적인 표현이 종종 나온다. 그때그때 관용구를 정리해두면 도움이 될 것이다. 큰 소리로 읽는 연습도 병행하는 것이 좋다. 읽으면 자신의 발음도 고쳐지고 머리에 더 잘 들어온다.
언어는 문화다. 따라서 영어를 잘 하기 위해선 미국이란 사회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아무래도 미국영어를 많이 접하기 때문이다. 청취력을 하루 아침에 향상시키는 비법은 없다. 끈질기게 파고들고 귀찮다고 대충 넘어가는 일 없이 항상 진지한 자세로 듣는다면 어느 순간 자신의 영어실력이 향상된 것을 느낄 것이다.
=============================================================== 많이 알아야 들린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는 따로 뗄 수 없는 하나의 유기체
최완규 (외대 영어과, 통역대학원)
'영어를 어떻게 공부해야 합니까?'
YTN 통역실 시절도 그랬지만, 현재 Neoquest English Plaza를 운영하면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이다. 정말 영어에 한 맺힌 사람이 많다는 걸 실감하게 된다. 또, '스피킹은 좀 하는데 듣기가 안됩니다', '독해는 잘하는 데 작문을 못합니다'식의 하소연을 하는 사람도 있다. 사실 이해가 안되는 말이다. 우리말로 생각해 보라. 글은 쓰는 데 안 들리다니?! 영어는 말이다. 하나의 유기체인 셈. 듣기와 말하기, 읽기와 쓰기가 따로 있지 않다. 머리와 몸통, 팔다리가 따로 노는 유기체가 있는가?
글로 봐서 모르는 건 들어도 알 수 없다
통역대학원 입학시험을 봤을 때의 일이다. 구술시험에서 시사문제를 가지고 인터뷰를 했다.당시는 김영삼 대통령이 '한국병(Korean Disease)'이라는 말을 유행시켰던 시절. 시험 몇 시간 전에 입을 푼답시고 '한국의 과소비' 특집기사를 커버 스토리로 실었던 Newsweek지를 사들고 달달 외웠다. 제발 '한국병'에 대해서 질문해 달라고 기도하면서. 신이 도왔던지 외국인 여자 교수가 '한국의 과소비 문제를 어떻게 생각하는냐'며 주제를 던졌다. 난 아주 여유있게 Newsweek를 보며 정리했던 대로 말을 풀어나갔다. 시험관도 상당히 좋은 인상을 받는 듯했다. 그런데 마지막 순간에 '과소비는 사회적인 병폐'라 한답시고 "Conspicuous consumption is a social disease."라고 내뱉고 말았다. 고개를 갸우뚱하는 교수. "A social disease?"라고 되물으셨고, 난 자신만만하게 "It sure is."라고 대답했다. 뭔가 석연치 않아 하던 그이 떱떨한 미소에 담긴 의미를 알게 된 것은 그로부터 몇 달이 지나서였다. AFKN에서 시사대담 프로그램을 보고 있는데 30분 내내 'social diseases'에 대해 얘기하고 있었다. 그제서야 사전을 들춰보고 social disease가 '사회적 병폐'가 아닌 '성병'이라는 걸 알고 그 교수를 볼 때마다 쑥스러웠다. 그 입학시험 이전에도 social disease는 뉴스나 영화 등을 통해 많이 들어 봤다. 그런데 social은 '사회', disease는 '병'이니 당연히 '사회적인 문제 또는 병폐'라고 나름대로 해석 했던 것이다. '소리'는 들리지만, '의미'는 몰랐던 것. 누구나 소리를 들을 수 있지만 듣기의 기본은 탄탄한 영어실력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좋은 발음이 있으면 나쁜 발음도 있다
YTN에서 통역사로 일하면서 하루의 절반은 헤드폰을 머리에 눌러쓰고 CNN을 보며 지내야 했다. CNN 기자 중에는 토종 미국인보다는 타지 사람이 많다. 그래서 발음도 제각각이다. 특히, CNN에서 각국 방송국의 현지기자 보도를 편집없이 그대로 내보내는 World Report의 경우, 향토색 짙은 영어 발음을 해독(?)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어떤 파키스탄 기자가 '빠르띠꿀럴리'라고 말하는 게 도대체 뭘까? 몇 시간을 고민하다 particularly라는 걸 알았을 때의 배신감! 3분 짜리 기사를 다 듣고도 'Reporting for CNN World Report'라는 sign-off(뉴스 리포트를 마치는 말)밖에 알아들을 수 없을 정도로 자기 마음대로 발음하는 폴란드 여기자에게 살기를 느꼈던 기억도 난다. 그래도 그런 기사를 통역할 수 있었던 것은 배경지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파키스탄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고, 폴란드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암호 같은 발음을 해독할 수 있었다.
듣기공부를 하면서 우리는 너무 '좋은 발음'에만 익숙해져 있다. 같은 미국인이라도 지역색이 있고 사투리가 있으며, 목소리에 따라서도 발음이 꼬이기 십상이다. 한가지 분명한 것은 영어 못 듣는 사람을 위해서 또박또박 '왓 두 유 원트'라고 발음해 주는 자상한 미국인들은 없다는 사실이다. 듣기연습을 할 때는 귀에 못이 박히도록 각양각색의 발음과 억양을 들어 보고 전천후 청취력을 기르는 것이 장기적으로도 큰 도움이 된다. 또, 느려터진 오디오 테이프로 연습하는 것도 이제 없어져야 할 학습방법이다.
입과 귀는 따로 놀지 않는다
f와 p 발음을 구별해 발음하지 못하는 사람이 'fine'과 'pine'을 들었을 때 구분할 리 없다. 사람은 자기가 알고 있는 발음대로 듣는 법이다. 제대로 들으려면 먼저 제대로 된 발음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것은 듣고 익히는 수밖에 없다.
우리가 통신 대화방에서 '안냐세요', '어솨요'라고 하듯, 인터넷을 돌아다니다 보면, should have를 발음나는 그대로 should of로, could have를 could of로 써 놓은 걸 볼 수 있다. 머리속에 담겨있는 발음과 귀로 들어오는 발음이 차이가 심하면 이젠 읽기도 힘들다.
결론적으로 읽기와 쓰기, 듣기와 말하기를 병행해서 공부하는 게 전반적인 영어실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알지 못하는 건 읽을 수도, 쓸 수도, 들을 수도, 말할 수도 없다는 걸 깨닫는 것이 출발점이 아닐까?
==================================================================== YTN 통역사의 청취력 훈련
청취력이란 귀가 뚫리는 고통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
곽중철
'방송통역'이라는 새 장을 열며
1995년 1월 10일, YTN 첫 전파발사를 약 50일 앞두고 대학원 후배 8명을 위성통역실 요원으로 채용한 첫날, 나는 이들을 어떻게 양성할 것인가 고민에 빠져 있었다. 80년대 중반 서울 올림픽 조직위원회에서 15명의 후배 통역사를 채용해 함께 일한 경험이 있었지만 방송통역이란 전혀 다른 분야였다. 특히 방송 뉴스란 보통 한 기사당 2분 남짓한 시간에 기자가 최대한 농축한 내용을 한꺼번에 쏟아놓는 것이기 때문에 완벽하게 이해하기가 쉽지 않는 법이다.
통역요원들 모두 대학원에서 교육받은 인재들이었지만 실제 통역경험은 많지 않았고 방송통역은 전혀 생소한 분야였다. 나도 80년대 중반 여의도의 2개 공중파 방송에서 생방송 통역을 한 경험은 많았지만, 위성으로 들어오는 뉴스를 번역하고 영상을 편집해 목소리를 더빙한 후 방송에 내보내는 작업은 익숙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위성통역실'이란 10분 남짓한 별도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하는 것은 우리 방송사상 초유의 일이었다. 두 달도 남지 않은 첫 방송을 앞두고 나는 요원들에게 몇 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첫째, 숙달될 때까지는 원문에 충실할 것. 둘째, 우리말은 최대한 쉽고 짧게, 번역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할 것. 셋째, 뉴스 냄새가 나도록 언론에서 쓰는 말과 억양을 숙달할 것.
이 중 첫째 원칙이 청취능력과 직결된 것이었다. 방송 뉴스의 통역이란 시의성 때문에 신속하면서도 정확해야 하므로 확실한 청취력을 요하는 것이다. 이 정확한 청취력 배양을 위해 요원들에게 몇 가지 당부를 했다.
하나, 시사문제에 대한 상식이 없거나 그 내용을 모르면 그와 관련한 뉴스는 잘 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신문이나 시사잡지를 철저히 읽어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에 정통하라. 둘, 숫자 통역이 틀리면 변명의 여지가 없으므로 특히 숫자에 조심하라. 셋, 자신이 없는 내용은 임의로 번역하지 말고 꼭 데스크에 문의하라.
확실히 들려야 통역을 하지
그로부터 통역요원 8명과 정확한 리스닝과의 싸움이 시작되었다. 나는 아침 8시경 출근해 간밤에 근무한 요원 2명이 해놓고 간 통역물을 점검한다. 직접 모든 원문기사를 다 들어 볼 수는 없다. 이때 한 가지 요령이 있다. 통역해 놓은 우리말을 보면 맞게 한 통역인지 아닌지를 대충 알 수 있다. 우리말로도 말이 되지 않는 부분은 거의 잘못 들은 것이 틀림없다.
이렇게 해서 낮에 근무하는 요원들이 퇴근하는 저녁 8시까지 그들의 작품을 철저히 점검했다. 중요한 부분에 오역이 있을 때는 담당요원에게 그 부분을 영문 그대로 받아 써보라고 지시했다. 이 방법은 모든 이들이 권장하는 가장 확실한 청취력 향상법 중 하나다.
대부분 방송통역을 처음 해보는 요원들은 초기에는 엉뚱한 실수가 잦았다. 특히 밤 11시부터 새벽 7시까지 근무하는 야근조 2명은 졸리는 탓인지 재미있는 실수도 많았다. 그러나 나의 불호령은 예외가 없었다. 눈물이 나도록 야단치는 경우가 허다했다. 같은 실수를 절대 반복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조치였다.
그런 과정에서 나 자신은 어떻게 청취력을 길렀는가를 회상하곤 했다.
1979년 통역대학원이 설립되고 1기 원생으로 입학해서 동시통역을 목표로 공부를 시작한 지 6개월 후, 과연 이 공부를 해낼 수 있을까 회의를 느낀 것은 청취력 때문이었다.
여기서 내가 세운 목표는 최대한 많이 듣고, 많이 읽고, 많이 소리내어 말하자는 것이었다. 불어를 함께 공부한 내 경우는 어려움이 더했다. 장시간 남의 말을 듣는다는 것 자체가 피로한 일인데 그것도 외국어를…….
청취가 괴로운 작업인 것은 사람의 귀가 정보를 흡수하는 데 가장 비효율적인 기관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남이 하는 말을 그냥 흘려버리지 않고 그것을 빠짐없이 알아들으려 하거나 통역까지 해야 하는 일이 그래서 힘이 드는 것이다. 녹음기를 갖다 놓고 돌려듣기를 계속해야 하는 것을 정말 고역이다. 그래서 녹음기와 이어폰과 친해지는 것이 청취력 향상의 첫걸음인지도 모른다.
80년 9월부터 83년 6월까지 3년 남짓한 기간 동안 파리의 통역대학원에서 유학하면서 청취력 때문에 그야말로 죽을 고생을 하면서 나름대로 일가견을 갖게 되었다. 그것은 청취력이란 '귀가 뚫린다'는 말처럼 귀속을 뚫는 고통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이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어느날 갑자기 귀가 뻥 뚫리는 기적은 일어나지 않는다. 설령 뚫렸다 해도 계속 노력하지 않으면 그 귀는 다시 조금씩 메워져나간다. 귀를 뚫린 상태로 유지하려면 계속 닦고, 조이고, 기름쳐야만 한다.
후기
3년이 넘도록 방송 통역을 하면서 우리 요원들은 각자 순간순간 느끼고 배운 것이 너무 많았는데 막상 써보려고 하니 기억나지 않는 것이 부지기수라 안타까웠다. 역시 그때그때 메모를 해 놓았어야 했다. 그래도 책의 분량은 늘어났고 그 과정에서 우리 나름대로 새로운 것을 많이 깨닫게 되었다. 특히 여러 사람의 경험을 종합해 보니 영어 청취에서 몇 가지 공통적인 비결이랄까 원칙을 찾을 수 있었다.
▨ 많이 알아야 들린다. 영어 단어나 표현뿐 아니라 세상 돌아가는 모든 이치, 상식이 풍부해야 영어도 잘 드린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선은 많이 읽고 많이 알아야 한다. 아는 것이 힘이요, 알아야 면장을 한다는 원칙이다.
▨ 자신이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어야 상대방의 영어를 알아들을 수 있다. 귀 먹은 사람이 말을 잘 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발음이 정확하지 않으면 남이 하는 말을 알아들을 수 없다. 영어공부를 할 때 정확한 발음으로 큰 소리로 많이 읽으라는 것도 여기서 비롯된 것이다.
▨ 받아쓰기를 열심히 해야 한다. 말이 들렸다고 거기에 만족하지 말고 한마디도 빠짐없이 그대로 받아 적어 보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귀찮은 작업이자만 그 이상의 효과가 있다.
위 세 가지 방법 모두 어렵고 괴로운 일이다. 조금이라도 그 괴로움을 덜려면 자신에게 맞는 즐거운 방법을 찾아야 한다. 영화면 영화, 노래면 노래 등 분야를 찾아 파고들면서 영어를 깊이 있게 공부해 나가면 된다.
어찌 보면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도 어느 정도의 편집증이 필요하다. 귀에 들리는 문장을 한마디도 빠짐없이 정확하게 문자화해 보고 싶은 마음이 있어야 청취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노래방에 가서 음정, 박자 하나 틀리지 않고 노래 한 곡을 완벽하게 불러보려고 노력하는 마음과도 같다. 그런 집념 없이는 리스닝을 늘린다는 것은 한낮 꿈같은 애기 뿐이다.
나의 '영화 받아쓰기교'를 따르는 똑똑한 신자들 '그럼 말하기는 어떻게 할까요' 하고 물어 온다. 톰 크루즈가 믿는 Scientology라는 종교는 그 종교의 깊은 뜻을 들을려면 그때마다 무지막지하게 기부를 해야 한다더라. 한번에 다 안갈켜 준단다. 윗단계로 갈수록 그 액수를 늘리는디, 한번에 다 갈켜주면 장사가 되나....험험.. 돈 없으면 못따르는 종교다. 내가 종파하는 이 종교는 그냥 점심만 사면 된다. 그것도 일년에 한번이면 된다. 흐흐. 싸쥐?
준비물 : 1. 영문 오디오 북 (오디오 북이 뭐냐고요? 거 왜 책 들고 읽기 싫어하는 사람들이 운전하면서, 걸어다니면서 듣는거 있자나, 아니면, 신문 기사나 잡지 이런거 영어 원어민이 똑똑한 발음으로 녹음해 놓은거 있으면 돼 ) , 2. 웹켐(Web Camera) - 없으면 하나 장만하시라. $30 이면 좋은거 하나 장만할수 있다. 내 요즘 한국 시세를 잘 몰르지만 햄버거 가게에서 2시간 알바 하면 $30 벌지 않나? 그돈으로 웹켐 하나 꼭 장만하시라.
1. 오디오 북에 딸려오는 스크립트 있쥐요? 고거를 서너번 소리내서 읽으라. (모르는 단어가 많쥐? 그래도 상관 없으니 떨지 마시라.스피킹 연습은 단어 몰라도 할수 있다. ) 한번에 한문단씩 연습하시라. 공부 하기 싫을때, 능률 안오를때, 놀면서 할수 있다.
2. 자 이제는오디오 틀어 놓고 나오는 소리에 맞춰서 동시에 소리내서 읽으시라. 속도를 잘 맞춰야 한다이. 어디서 띄어 읽고 어디서 빨리 읽고, 어디서 강조를 하는지를 자세히 살피시라.
3. 쫌 비슷하게 읽게 되셨나? 그렇다면 컴에 딸린 카메라를 이용해서 자신이 읽는 모습을 녹화하시라. 외워서 할수 있으면 더 부드럽긴 하지만, 외울려고 시간 보낼거 없따. 시간 아깝게 쓰리.
4. 꼭 혼자서 문잠그고 하시라. 왜? 한국인들 참 쑥쓰럼 많이 탄다. 누가 보고 있거나, 듣고 있으면 100% 발휘를 못하자나. 보는 사람없고, 듣는 사람없으니 혀가 꼬여서 목이 막히더라도, 최대한 비슷하게 따라 하시라. 아나운서 시험 준비하는 사람처럼.
5. 녹화한거 들어보니 어디가 어색하고 어디가 훌륭한지 아시겠쥐? 발음 잘 안되는데서 얼굴이 뒤틀리고 입모양이 이상하쥐요? 다 그런거니, 쫄지 마시라, 이거는 몇번만 해보면 된다.
6. 자신의 발음과 원어민 발음을 비교해 보면서, 문장의 어디가 가장 차이가 나게 읽었는지를 책에다 빨간색으로 표시를 하시라.
7. 어디가 가장 차이가 나는지 내가 맞춰 볼까요? '전치사 & 관사 (a, the)' 일게야. ( 난 이제 멍석 깔아야 돼. 별걸 다 맞춘다니깐. )
한국말은 한글자 한글자를 명확하게 발음해야 (articulate) 하는 언어이다. 말이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말이 있듯이, 한국말은 한글자가 뜻 차이를 가져 오는 경우가 많다. 영어는 다르다. 문법상 필요해서 넣지만 별다를 뜻이 없을때는 그냥 우물우물 하고 넘어가 버리고, 반대로 뜻이 있을때는 강조해서 발음한다.
I am going togo. I'm gonna go I will go. (참고: 가겠다는 의지를 강조하는 문장으로 뜻이 약간 다르다.) I'll go.
위의 네문장은 모두 같은뜻이다. 빠르게 진행되는 대화 중에는, 파란색의 굵은 글꼴로 써있는 부분은 쉽게 듣지만 검정색 글씨 부분은 정확하게 들리지 않는다. 정확하게 발음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중요하지 않으니까. 근데 어느 부분 잘 못알아 들은것 같으면 벌써 가슴이 떨려오쥐요? 뭔가 못알아 들은게 있는것 같아서? 그럴거 엄따.
8 . 일주일에 두번 한시간씩만 연습하면 발음이 많이 교정되는걸 본인이 금세 알아차릴수 있다. 이 글에서 내가 강조하는 부분은 단어의 정확한 발음이 아니다. 문장의 발음이다. 아쉬겠쥐요?
영어는 언어이다. 언어는 의사소통의 수단일 뿐이다. 아주 어려서 부터 영어를 배워서 쓰지 않는한, 한국어가 모국어인 사람들이 영어를 원어민 처럼 발음 할수 있게 되지는 않는다. 또 그럴필요도 없다. 알아 들을수 있게 발음하면 되는것이다. 한국인들의 영어 발음중 의사소통에 지장을 줄정도로 문제가 되는것이 바로 띄어서 발음할 부분과, 빠르게 발음하고 지나갈 부분을 구별하지 못하는 데 있다. R, F, V 에만 너무 치중하지 말고, 문장을 어디서 끊고 어디서 이어서 발음해야 될지를 살피시라.
미국에 와서 처음 3~4년은 '영어 정말 잘 하시네요' 라는 칭찬을 줄곧 들었다. 미국에 온지 7년이 된 지금 나는 '한국말을 참 잘 하시네요' 라는 칭찬을 듣는다. 영어가 모국어인줄 알고들 하는 소리다.
나는 토종 한국인. 한국인 부모님에게 태어나 대학 졸업, 그리고 6년간의 회사 생활후 미국으로 유학을 오고 그리고 지금은 미국 회사에 근무한지 5년이 되어간다. 미국으로 오기 전까지 나는 유행이었던 유럽 배낭여행도 가본적이 없고, 외국으로의 어학연수도 간적이 없다.
유학을 결심했던 당시 내가 가지고 있던 영어 성적이라고는 토익 427점. 회사 입사할때 수백명이 한자리에서 단체로 본 시험 점수다. 경력 5년차가 되어, 대리 진급 자격이 되었을때, 회사에서 영어를 못하는 사람은 진급을 시키지 않겠다며 그 커트라인이 429점이라고 했다. 뜨아아아. 내가 맡은 업무는 전혀 영어랑 상관이 없는 분야 였다. 왜 영어를 잘 해야 하는거지?!?! 난 영어를 쓸일도 없는데!
IMF와 함께, 한국 경제가 바닥으로 가라 앉으면서, 유학을 결심했다.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생각에. 1999년 겨울, 환율이 2000원을 왔다 갔다 했다. 달러로 학비내고 생활비 해야 하는데, 이거 아주 불리한 상황이다. 다른건 별 볼거 없고 영어 성적만 무쟈게 좋은 어떤 사람이 장학금을 받고 유학을 가게 되었다는 소리를 들었다. 영어 공부 진짜 욜심히 했다. 그 때문에 나는 지금 영어를 잘하게 되었다.
나에게 영어를 어떻게 하면 잘할수 있느냐고 사람들이 자꾸 물어 온다. 그럼 나는 영어공부 열심히 하면 된다고 답을 해 주지만 믿지를 않는다. 뭔가 다른 이유가 있을거라 생각하고 혹시 어려서 외국에서 살았는지, 어학연수를 갔었는지, 영어를 원래 잘했었는지, 등등을 캐묻는다. 그러고는 자기의 노력으로 바꿀수 없는 부분을 가장 강력한 이유라고 믿어버린다. 남자들의 분석은 종종 내가 여자라서 영어를 잘한다고 결론 내린다. 자기들은 남자니 잘 할래야 할수가 없다는 결론. 여자들은 내가 한국인이 나밖에 없는 학교 학과에서 대학원을 다녔기 때문에 내 영어가 유창하다고 결론 내린다. 유학을 안 간 사람은 유학 때문이라고 결론 내리고, 하 하 하. 내가 회사 다닐때 제3국가에 9개월 나가 일한거 아는 사람은 그게 이유라고 결론 내린다. 그러나 아는 사람은 안다. 그게 이유가 아니라는걸.
나의 결론은 이거다.
'당신의 영어가 나만큼 유창하지 않은건, 공부를 나보다 덜했기 때문이야!!! 나만큼 영어 공부 해 봤어? 하루에 단어 500개씩, 주말에 10시간씩 엉덩이에 땀띠 나게 단어 외워 봤어? 영화 처음부터 끝까지 대사 받아쓰기 해봤어? 이거 매일매일 1년만 해봐, 나처럼 영어 할수 있지. 공부 안했으면서 괜히 딴데서 변명거리를 찾지 마시라요'
영어가 막막한 사람의 심정을 난 잘 이해할수 있다. 그 막막한 심정은 뚱뚱한 사람이 살을 빼기가 막막한 심정과 같다. (내가 이 심정 잘안다. T.T 미국에서 햄버거 피자 이런거 매일 점심으로 먹어봐. 살 안찌나) 단기간에 20kg어쩌구 하는 이런거에 난 진짜 혹한다. 영어 2주만에 정복하기 이런 책에 혹하는 사람들의 심정 난 잘 안다. 그러나 이런 책 타이틀은 살 20kg 2주만에 뺀다 라는 광고 문구와 다를바가 전혀 없다. 어떤점에서 같냐고? 다 뻥이라는 점에서.
영어 듣기와 말하기를 늘리기 위해 내가 선택한 지름길은 영화 받아쓰기!
이걸로 영어 공부 해서 늘었다고 감사편지 보낸 사람 많다. 다들 유학생들 아니면 유학 마치고 여기서 직장 생활 하는 사람들이다. 유학와서 수업듣고 여기서 사는데도 영어가 제자리 걸음인게 고민인 그들도 증명한 방법. 따라서 해 보시라. 효과가 있으니. 이 방법을 종교처럼 따르는 무리가 있으니. 내 이 종교를 종파하고 점심 많이 얻어 먹었다. 사실 내가 오리지널은 아니다. 유학준비 하던 시절, 이익훈 어학원에서 나오는 월간지. 그러 맨 뒤에 받아 쓰기 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이거 다 해서 학원에 내면 그 다음달 호 공짜로 줬다. 학원생이 아니어도 상관없었다. 유학가려는데 여기저기서 절약했어야 했쥐.
JIM LEHRER: And first tonight, today'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plan for easing congestion and delays at airports. It includes some restrictions on flights in New York-area airports. It releases military air space for holiday civilian aviation and creates a New York air czar, among other things.
We look at these steps and longer term issues with Michael Goldfarb, who was the chief of staff at th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during the first Bush administration. He now has his own aviation consulting firm that works with air traffic controllers and others.
And Jim May, who is the president of the Air Transport Association, the trade group that represents the leading U.S. airlines.
Issues with infrastructure
JIM LEHRER: Mr. Goldfarb, what do you think of this plan? Is it going to do any good?
MICHAEL GOLDFARB,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Not much, Jim. I'm afraid it's a band-aid on a much, much larger problem.
I think Jim would agree that we have two major things coming together at absolutely the wrong time right now in this country. We have too much aluminum in the sky, not enough runways on the ground, too much congestion.
And then we have an infrastructure that's falling apart. So the planes in the sky have no place to land. We don't have enough airports, but we also have a workforce that's incredibly demoralized right now. So normally...
JIM LEHRER: Wow.
MICHAEL GOLDFARB: ... normally when you take a delay as a passenger, you're willing to take that delay because safety should never be put at risk. And now we have a situation where the administration, out of some good understanding of the degree of desperation, is trying to do rapid fixes to problems that are long term, and that could affect safety. I'm concerned about that.
JIM LEHRER: Do you share that concern, Mr. May?
JIM MAY, President, Air Transport Association: We always share a concern about safety. I think we have to keep safety first and foremost in our minds.
But I would agree with Michael -- and we've been making speeches about this for 10 or 15 years -- that the real culprit is an aging air traffic control system that needs to be completely revamped. I think Congress needs to help us get to that point, the FAA, the DOT, and others.
And this is a step, I think, in the right direction for New York, because a good part of what the secretary announced today were some operational capacity enhancements to the system. And I think that 77-item list that the DOT has put out there are things that need to be done, but we need to have, even beyond that, a far more comprehensive effort.
JIM LEHRER: Well, we'll get to that in a moment, but let's go through the specifics here.
JIM MAY: Sure.
JIM LEHRER: The restriction that -- there are some detailed restrictions about when the number of flights, particularly at JFK and all of that. How could that affect things in a positive way?
JIM MAY: Well, what they've done on a temporary basis for the next two years is place what are called caps on all three airports. They actually exist at LGA, LaGuardia today. And they're going to put caps on at JFK. And within a week or two, they'll announce caps at Newark.
I think that will limit the number of flights per hour that are going to be departing and arriving from those affected airports. I think that will smooth out, if you will, the traffic -- "de-peaking" it, is the term -- and then the air traffic control adjustments will come into play.
JIM LEHRER: Will it still be the same, roughly the same number of flights, they'll just be spread out better? Is that the deal, Mr. Goldfarb?
MICHAEL GOLDFARB: Well, it will have a ripple effect. And I think Jim is right that while it might ease departure delays at those airports, it's going to create other problems at airports right around that area, like Philadelphia and the others.
JIM LEHRER: Why? Why would that--
MICHAEL GOLDFARB: The problem is that some of these fixes that they announced today, bringing planes closer on final to Kennedy, using the military routes, the problem is that we just don't have the resources, we don't have the people to provide that level of change right now and to offer off the capacity.
JIM LEHRER: You're talking about people in the air traffic control system?
MICHAEL GOLDFARB: Yes, yes.
JIM LEHRER: The people that would be required to use this freed-up military air space with more flights, that's what's you're saying?
MICHAEL GOLDFARB: Right. You know, the military air space creates other problems. It will get you out of New York faster, Jim, but it won't get you to Orlando any quicker.
So, in fact, you're still backed up flying into Orlando. You still have the same amount of traffic nationwide. New York has to be dealt with, but it's a band-aid on a much, much bigger problem.
I think Jim alluded to it. Two issues: Technology is not available to allow the safe ability to put more planes in the air space. And...
JIM LEHRER: But the New York -- you think the New York thing will help a little bit?
JIM MAY: I think it will help. I think both sides of the equation in New York are going to help, both the caps and the capacity enhancements.
And I disagree with Michael. When we had the availability of New York air space during Thanksgiving, those north-south routes along the East Coast did see some improvement.
There's no question we need to be careful of spacing. There's no question that we need to involve the air traffic controllers in this dialogue, in this debate that we're having. And it's a multifaceted problem that requires a suite of solutions.
New 'air czar' created
JIM LEHRER: What about this air space czar for New York? What's that all about?
JIM MAY: What I hope is that we'll have somebody who has real authority to make real decisions to cut across jurisdictional lines...
JIM LEHRER: Moment by moment or in a big way?
JIM MAY: In a big way, to be able to implement some of the badly needed changes that have been held up. As a practical matter, you've got a lot of local citizens that are worried about noise restrictions that are holding up the overall New York air space plan.
JIM LEHRER: But an air czar is not going to be sitting around a table like this and say, "OK, let's move this flight in here," and all of that. This is a big-picture person.
MICHAEL GOLDFARB: Right. And how often have big-picture czars worked in any industry in recovery? It scares me to think of an air czar without any air traffic operational knowledge, without any understanding of what you just mentioned, the day to day.
It's all about the day to day. It's all about getting those planes off Runway 41 Left efficiently. To do that, you have to understand the operation.
So a czar, could you have a czar, like a big-picture czar? Jim, I think so. Is it going to make a capacity difference? I think not.
JIM MAY: I think it will, Michael. I disagree with you. I think it's the one suggestion that the secretary made that has support from Congress, the airlines, the Port Authority, and across the board.
We've got to try it. We used it when we had real serious congestion problems in south Florida a couple of years ago. And it made a big difference. I hope that the most congested, most complicated air space in the world, which is New York, it will make the same big difference.
JIM LEHRER: All right. Both of you agreed on one thing here, is that the problem is a lot more than a few fixes that were announced today.
JIM MAY: Correct.
Overcrowding may get worse
JIM LEHRER: Is it going to get worse, Mr. Goldfarb? Is there anything that, when you look ahead as it is now, are there going to be more flights, and less air space, and more problems, more congestion, more delays, or is there something in the works now that could fix this thing?
MICHAEL GOLDFARB: Well, I'll let Jim answer the air side; I'll answer the ground side. I think it's going to get a lot worse before it gets better.
JIM LEHRER: On the ground?
MICHAEL GOLDFARB: Absolutely.
JIM LEHRER: There's just not enough, what, not enough runways?
MICHAEL GOLDFARB: There's not enough runways. There's not enough controllers. They're leaving in droves. They had a very bad labor agreement. I'm not certain why the administration signed such a bad labor agreement.
They have hundreds of them leaving and retiring before they're really eligible, they have to leave. So we have a shortage of work force. We have no plan to deal with that. We have a huge retirement battle.
We have equipment that the FAA historically has been unable to put in the field to help controllers and to help the airlines do the kinds of things.
JIM LEHRER: And meanwhile, your industry, the airline industry, wants more planes, more flights, wants to expand, right?
JIM MAY: We want to be able to grow, but we need to have a modern, satellite-driven air traffic control system to be able to accommodate that growth. We move 750 million people a year today. That's going to jump to a billion within the next four or five years.
JIM LEHRER: Say that again, 750 million right now?
JIM MAY: Million people a day right now.
JIM LEHRER: It's going to go to a billion?
JIM MAY: A billion.
Technology upgrade needed JIM LEHRER: Now, what does that mean in terms of air space and airlines, I mean, and airplanes and airports?
JIM MAY: It suggests that if we are to maintain what we enjoy today, which is the safest, best record for safety we've ever enjoyed, that we have to have modern technology to aid those air traffic controllers in handling that additional traffic.
JIM LEHRER: Where is that technology?
JIM MAY: That technology is available. It's in use. It's being put in around the world today. The military is using it. It is a matter of the Congress and the administration coming together, having the will to fund that program, and implement it.
JIM LEHRER: That's a huge amount of money, right?
MICHAEL GOLDFARB: Well, it is, Jim. And I have a deja vu 20 years ago, because I think United Airlines in the '80s was very interested in putting in the cockpit an advanced avionics that would allow them to fly the kind of things that they're talking about now, but the ground infrastructure never came through with the...
JIM LEHRER: You mean they had them in the cockpit?
MICHAEL GOLDFARB: Yes, had them in the cockpit.
JIM LEHRER: But didn't have them on the ground so the thing didn't work, right?
MICHAEL GOLDFARB: Right. So your car today has a better GPS capability than air traffic control has.
JIM LEHRER: What? Better GPS?
MICHAEL GOLDFARB: In a car than you have right now in the air traffic control system.
JIM LEHRER: Now, how in the world did that happen?
MICHAEL GOLDFARB: Well, that's a wonderful question. But the real question is, is the government capable of doing exactly what Jim is asking them to do? And I agree with Jim. It's a vitally felt need to modernize and to make sure that we have as efficient technology in the cockpit as you have driving down the highway today. And we're not there.
JIM MAY: That technology is available. It is in many of the cockpits, but Michael's right. We've got to have the ground system to be able to utilize it.
JIM LEHRER: I don't detect -- maybe I'm not hearing right -- but I don't hear people blowing horns of panic. "Hey, come on, let's get on with this." Am I missing something?
JIM MAY: I think I can go back -- I've been in this business just five years now. But from the first year I was at ATA, I've been making speeches blowing that horn, trying to tell people we've got to have a well-funded, well-planned, executable next-generation air traffic, and we need it now.
JIM LEHRER: Nobody's hearing the horn?
MICHAEL GOLDFARB: I've been in this business 20 years, and I've never witnessed a worst time for the American public to fly than today. So that horn is a moment away.
JIM LEHRER: All right, thank you both. I think I thank you both very much.
MICHAEL GOLDFARB: Thank you.
JIM MAY: Let me just close by saying I think it's a continuing very safe time to fly. And I think we've got a lot of problems on the horizon, but I encourage people to take advantage of some of the lowest fares and best opportunities ever.
JIM LEHRER: I said goodbye to you, and you kept talking. And so anyhow we picked it up s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