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표충사
반응형

표충사(表忠寺)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또한 임진왜란 때 승병(僧兵)을 일으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사명(四溟) 대사(大師)의 충훈(忠勳)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사당(祠堂)이 있는 사찰이기도 하다.

표충사의 원래 이름은 원효대사가 창건했던 죽림사(竹林寺)였다고 한다.
829년인 신라 흥덕왕 4년에 중창하면서 영정사(靈井寺)로 이름을 바꾸었다. 1839년에 밀양군 무안면에 있었던 사명 대사를 모시는 사당인 표충 사당을 이 곳 영정사로 옮기면서 절 이름을 표충사로 바꾸었다. 현재 경내에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1호인 대광전(大光殿)과 제52호인 표충 서원(書院) 등의 건물이 있다. 또한 국보 제75호인 청동함은향완과 보물 제467호인 3층 석탑이 있으며, 중요민속자료 제29호인 사명 대사의 금란(錦란) 가사(袈裟)와 장삼(長衫) 등 유품 약 200여 점이 유물 전시관에 보관되어 있다.

표충사 전경표충사 전경


표충사표충사 배치도


표충사 홈페이지 보기
문화재정보센터에서 표충사 동영상 보기


청동함은향완

향완이란 절에서 마음의 때를 씻어준다는 향을 피우는데 사용하는 도구로서 향로라고도 부른다. 경상남도 밀양 표충사에 있는 청동 향완은 높이 27.5㎝, 아가리 지름 26.1㎝의 크기이다. 향완에 무늬를 새기고 그 틈에 은실을 박아서 장식한 은입사(銀入絲) 기술이 매우 세련된 작품이다.

향완의 형태는 주둥이 부분에 넓은 전이 달린 몸체와 나팔모양의 받침을 갖춘 모양으로,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전과 몸체가 닿는 부분을 둥글게 처리하고 받침 둘레의 가장자리에 얕은 턱을 만들어 안정감을 주었다. 높이나 너비의 비율도 거의 1:1을 이룸으로써 균형잡힌 비례감각을 보여주고 있다. 넓은 전 윗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있는 6개의 원 안에 ‘범(梵)’자를 은입사하였으며, 그 사이사이에 구름무늬를 장식하였다. 몸체에도 역시 굵고 가는 여러 선으로 원 안에 굵게 은입사한 ‘범(梵)’자가 4곳에 배치되어 있다. 받침에는 구름과 용무늬를 장식하였는데, 굵고 가는 선을 이용하여 능숙하게 표현된 용의 모습에서 고려시대 뛰어난 은입사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넓은 전의 안쪽 면에는 57자의 은입사로 된 글자가 있는데 내용으로 미루어 명종 7년(1177)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국내에 남아있는 향완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시대를 구분하는 자료로서 큰 가치를 지닌다. 뿐만 아니라 받침 안쪽에 새겨진 글을 보면 원래 이 향완이 있었던 곳이 현재의 표충사가 아닌 창녕 용흥사였음을 알 수 있는데, 어떻게 해서 표충사에 전래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최근 작성 글
최근 작성 댓글
최근 작성 트랙백
프로필
공지사항
글 보관함
캘린더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DAY TO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