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의 전략 (2)
이름 걸고 쓰는 글
반응형
블로그가 인기를 끌면서 가장 새롭게 부각된 것은 '글쓰기 문화'의 확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블로깅=글쓰기'이라는 공식이 자연스레 성립되었습니다. 이것은  블로거에게 필요한 제1의 능력은 '글쓰기'능력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블로그 운영 목적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서 글의 내용도 달라지고, 관리방법도 좌우 됩니다.
아무리  목적이 서로 다를지라도, 블로거에게 필요한 제1의 능력은 '글쓰기'능력일 것 입니다. 예전에 인기를 모았던 '싸이월드'처럼 사진 위주로 블로그 꾸미고 있다면 모르지만요.

조선 제 22대 왕, 정조는 ‘마음이 곧 글씨’라는 ‘심획론’(心劃論)을 평생 좌우명으로 삼았다고 합니다. 이를 개인적 취향으로 편용한다면 '마음이 곧 문장이다 '라는 '심문론(心文論)으로 표현하고 싶습니다. 문장 속에는 글쓴이의 가치관과 지식의 넓이, 깊이를 간접적으로 알려주는 단서가 있습니다. 그 단서를 통해서 글 전체에 대하여 호감을 가지느냐 마느냐 판단을 하곤 합니다.

'심문론'을 믿고 있는 한 인간으로서 아이러니하게도 저는 글쓰기 솜씨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글 재주라는 것이 타고나야 한다, 애석하게도 나는 이 능력을 타고나지 않았다 라고 생각하기 때문 입니다. 글쓴다는 것은, 전체적으로 볼 줄 알아야 하고, 글 구조의 흐름을 꿰뚫고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타고난 능력의 작용이라 믿었습니다.

이런 믿음에 반하는 글을 접하게 되어 아래에 연결을 합니다.

아래 글의 요지는
좋은 글은 노력의 산물이요, 정성의 결과라는 것 
입니다. '절차탁마(切磋琢磨)'라고 할까요.


이름 걸고 쓰는 글 

[2008.03.21 제702호]


나는 리영희 선생의 글을 좋아한다. 
그의 글은 여러모로 논리적 글쓰기의 이상적인 요소를 갖추고 있다.
  1. 감상이나 주관적 견해를 앞세우기보다는 사실에 철저히 근거해 설득하려는 점, 
  2. 겉으로는 쉽게 드러나지 않지만 꼼꼼히 뜯어보면 주도면밀하고 목적의식적인 문장 배치와 구성에 힘씀으로써 글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다는 점, 
  3. 아무리 어려운 내용이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읽는 이를 배려하는 점 등은 특히 배울 만하다.


그가 1990년 <한길문학> 5월호에 쓴 ‘이름 걸고 글을 쓴다는 것은’이라는 제목의 글을 읽어보면 글쓰기에 대한 그의 노력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그는 그 글을 쓰기 한 해 전인 1989년 한 지방도시의 대중목욕탕에서 겪었던 일을 털어놓는다. 40대 후반으로 보이는 때밀이 노동자가 그를 알아본 뒤 그의 글을 꼬박꼬박 읽는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그는 그런 “뜨거운 사랑에 부딪칠 때 나의 가슴에 맺힌 상처는 아물어간다”고 했다.

그렇지만 글을 쉽게 쓰기 위해 그가 쏟는 노력에 대해 읽는 이들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는 게 그의 고백이다. 원고지 9매 분량의 ‘한겨레 논단’을 쓰기 위해 그는 2주일 내내 

“머리 속에 주제의 씨를 심고, 물을 주고, 발효시키고, 뜸들이고 하는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

었으며,

“논단 속에 넣을 몇 줄의 자료를 찾기 위해 때로는 두툼한 미국 국회의사록 책 몇 권을 꼬박 읽는 따위의 일도 드물지 않다”

고도 했다. 뼈를 깎는 노력으로 쓴 글이라야 자기 이름을 걸 수 있고, 그런 글이라야 읽는 이가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김창석 한겨레 교육서비스본부kimcs@hani.co.kr
출처 : 한겨례21 원문보기


반응형

'블로그 누리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d Book for Wedding Event  (0) 2009.11.27
티스토리 초대장 배부  (31) 2009.11.19
US Microblogging Fad Taking Korea by ‘Small’ Storm  (0) 2009.11.13
Moving Advice  (0) 2009.11.09
Silver for Pepero day's gift  (0) 2009.11.06
G마켓에서 페이팔로 결제하기  (7) 2009.09.11
Pain Relief Process  (0) 2009.09.11
티스토리 초대장 방출 - 완료  (38) 2009.09.10
  Comments,     Trackbacks
직장생활, 글 잘 쓰는 것도 경쟁력이다
반응형
얼마 전에 티스토리가 네이버 처럼 무단 펌질화 되어간다는 포스트를 읽은 적이 있다. 내심 찝찝한 기분을 지울 수 없었고, 다시는 '펌프를 가동하지 않는다' 다짐했다. 맘에 드는 글을 보고 나면, 손이 근질근질해 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주체될 수 없는 펌프의 작동소리. 오늘은 참다 참다 그냥 올린다.


직장인들은 매일같이 글을 쓴다. 이메일에서부터 기획안ㆍ보고서 등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글쓰기 능력은 이제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한 하나의 경쟁력이다. 하지만 막상 글을 쓰려고 하면 생각만큼 잘 써지지 않는 게 현실.

몇 가지 글쓰기 방법을 익혀 보자. 이것만 알아도 직장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글은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글은 무엇보다 연습이다. 좋은 글을 많이 읽고 많이 쓰면 는다. 


글을 쓰는 데도 요령이 필요하다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글쓰기 능력은 이제 비즈니스의 기본이다. 기획ㆍ마케팅ㆍ홍보뿐 아니라 영업ㆍ관리 등 모든 분야에서 글쓰기가 필요하다. 인터넷의 발달로 사람과 사람을 잇는 방식이 근본적으로 변했고, 지식정보화사회가 기업 환경을 바꾸어 놓았기 때문이다. 글쓰기 능력이 부족한 사람은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

 

 멋진 아이디어를 갖고 있을지라도 그것을 글로 잘 표현하지 못하면,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 쓸모없는 아이디어가 된다.
글쓰기 능력을 키우는 것은 그래서 필요하다.

그러나 막상 글을 쓰려고 하면 잘 되지 않고 앞이 꽉 막힌다. 글쓰기가 잘되지 않는 것은 실제적으로 글을 써 나가는 방식, 즉 글쓰기의 요령을 제대로 익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몇 가지 요령을 익히는 것만으로도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글쓰기는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를 소개한다.

일단 써놓고 다듬어라

글을 손쉽게 쓰는 방법은 우선 대충 써 놓고 다듬는 것이다. 잘 쓰든 못 쓰는 상관없이 일단 생각나는 대로 적어 내려간 뒤 다듬어야 한다. 지나치게 잘 쓰려는 욕심으로 처음부터 한 줄 한 줄 매달리다 보면 3박 4일이 걸려도 한 장을 쓰기 힘들다.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다음 줄로 넘어가는 식으로 계속 써 내려가야 한다.

 

 처음부터 완벽한 글을 쓸 수는 없다.
몇 줄 써 놓고 맘에 안 든다고 종이를 구기거나 글을 삭제하지 말고,
일단 처음부터 끝까지 써 놓고 다듬어야 진도를 나갈 수 있다.

원하는 양의 두세 배를 적은 뒤 분량을 조절하고, 내용을 수정ㆍ보완하고, 문제가 있는 부분을 고치면 남에게 충분히 읽힐 만한 글이 완성된다. 부드럽게 굴러갈 때까지 요리조리 다듬다 보면 결국 마음에 드는 글이 나온다. 처음부터 완전한 글을 쓸 수는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일단 끝까지 써 내려가는 것이다.

문장은 짧게 끊어 써라

글을 쓰는 재주가 특별하지 않은 한 긴 문장을 제대로 구성하기는 힘들다. 문장이 길면 구성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 너저분해지고 글이 늘어지게 마련이다. 한꺼번에 많은 내용을 집어넣으려 하지 말고 한 문장에 한 메시지만 전달한다는 생각으로 짧게 끊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 문장은 몇 개의 짧은 문장으로 나누어 적당한 길이(30~50자)로 써야 읽기 편하고 이해하기 쉽다. 다만 짧은 문장이 계속 이어지면 단조롭고 딱딱한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길이에 변화가 필요하다. 긴 문장과 짧은 문장을 적당히 섞어 글에 리듬감을 불어넣으면 내용이 좀 부족하더라도 읽은 뒤 여운이 좋다.

단어의 중복을 피하라

글을 쓸 때는 한 가지 단어만 사용하지 말고 어휘력을 발휘해 다양한 단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해야 한다. 우리말은 어휘가 풍부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어휘를 다양하게 구사하면 단어나 구절이 불필요하게 반복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같은 단어나 표현이 반복되면 읽기 불편하고 지루해지며, 글의 세련된 맛이 없어진다.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불황을 극복하기 위한 기업들의 생존 마케팅이 점입가경이다."는 문장은 '불황'이 반복해 나와 어설프다. 뒤의 '불황'을 '이를'로 바꾸어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업들의 생존 마케팅이 점입가경이다."고 하면 훨씬 세련된 문장이 된다.

 

 문장 혹은 문단 안에서 같은 단어가 자꾸 반복되면, 지루하고 멋없는 글이 되기 쉽다.
이럴 때는 지시대명사 등을 활용하는 것이 방법이다.

문장 성분을 호응시켜라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문장의 주요 성분인 주어와 서술어를 호응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내 목표는 우리 팀에서 가장 높은 판매 실적을 올리려고 한다."에서처럼 주어와 서술어가 호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내 목표는 우리 팀에서 가장 높은 판매 실적을 올리는 것이다."로 해야 주어와 서술어가 호응한다.

 

 주어와 서술어가 호응을 이루지 못하면, 문장이 산으로 가게 된다.
문장을 짧게 끊어 쓰는 것이 좋다는 것도 문장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목적어와 서술어가 호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글을 잘 쓰려면 신문과 TV를 열심히 시청해야 한다.”처럼 목적어가 여러 개이고 서술어는 하나인 경우 각각의 목적어는 서술어에 똑같이 호응해야 하나 그렇지 못한 예가 흔하다. 신문은 시청할 수 없으므로 “글을 잘 쓰려면 신문을 꼼꼼히 읽고 TV를 열심히 시청해야 한다.”와 같이 고쳐야 한다.

 

 단어나 구를 나열하면서 흔히 범하기 쉬운 실수.
목적어가 엉뚱한 서술어와 연결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내용별로 단락을 구분하라

글쓰기 훈련이 부족한 사람은 단락을 제대로 구성하기가 쉽지 않다. 무리하게 전체를 하나의 단락으로 처리하거나 지나치게 여러 개의 단락으로 나누는 경우가 허다하다. 하나의 단락에 여러 가지 내용이 섞여 있거나 하나의 단락이 지나치게 길어지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제대로 와 닿지 않고 읽는 사람을 지루하게 만든다.

주제를 세분화함으로써 나타나는 소주제에 따라 단락을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단락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논리적인 선후 관계에 따라 단락들을 배열하고, 적절한 연결어를 넣어 주어야 한다. 내용이나 논리의 흐름상 앞 단락과 뒤 단락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긴밀하게 이어져야 한다. 가능하면 연결어 없이 물처럼 굴러가면 좋다.

구어체적 표현을 삼가라

말하듯이 자연스럽게 글을 써야 하지만 말과 글이 같을 수는 없다. 말할 때는 생각을 떠올리거나 호흡을 가다듬기 위해 별다른 의미가 없는 말들이 많이 쓰이고, 줄임말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글의 문장은 말보다 완전하고 체계적이어야 하며, 높은 완성도로 세련된 맛을 살려야 한다.

"중국의 추격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누구도 장담 못 한다. 경계를 안 늦추고 지속적으로 신제품을 개발하는 것만이 경쟁에서 이기는 길이다."에서 '장담 못 한다'와 '안 늦추고'는 구어체적 표현으로 글의 맛을 떨어뜨린다. 각각 ‘장담하지 못한다' ‘늦추지 않고'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

대등성을 살려라

단어나 구절을 나열할 때는 대등성을 살려야 한다. '한국ㆍ일본ㆍ중국'처럼 국가를 나열할 경우 국가만 나와야 하고, '한국 서울, 일본 도쿄, 중국 베이징'과 같이 국가와 도시를 나열할 때는 반드시 이 구조를 유지해야 한다. "프랑스 파리와 이탈리아 밀라노, 미국 등이 세계 패션을 주름잡고 있다."에서 '미국'은 도시가 없으므로 '미국 뉴욕' 형태가 돼야 한다.

요령 없이 접속사나 쉼표를 남용함으로써 복잡하고 어수선한 문장을 만들어 내는 경우도 많다. '과'ㆍ'와'ㆍ'나'ㆍ'및' 등 접속사 사용을 되도록 피하고 가운뎃점(ㆍ)이나 쉼표(,)를 이용해 단어와 구절을 앞뒤 대등하게 나열하는 것이 문장을 깔끔하게 만드는 비결이다. 단어 나열에는 가운뎃점, 구 또는 절의 나열에는 쉼표가 유용하다.

공감을 느끼게끔 써라

글을 쓰는 목적은 자신의 생각이나 정보ㆍ지식 등을 읽는 사람에게 전달해 상대가 공감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 맞는 말이야', ‘아. 이렇게 하면 되겠구나' 하면서 상대가 고개를 끄덕일 정도라면 글을 쓰는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는 것이다. 설사 대단한 내용이 아니더라도 상대가 고개를 끄덕이게끔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술이 필요하다.

'남의 일이 아니다'는 생각을 갖게 하거나 자녀 교육 등 공통적인 체험에 호소하면 공감을 얻는 데 효과적이다. '차갑다'ㆍ'뜨겁다'는 직접적인 표현보다 능숙한 수사법을 동원해 ‘얼음장과 같다'ㆍ‘열기가 후끈 달아올랐다'는 식으로 비유하는 것도 쉽게 공감을 얻는 방법이다. 에피소드나 유머 등을 삽입해 재미있게 이야기를 풀어 나가도 쉽게 공감을 얻을 수 있다.


- 글

배상복 / 중앙일보 어문연구소 기자
<문장기술>ㆍ<글쓰기정석>ㆍ<엄마가 보는 논술>ㆍ<첨삭기술> 저자, '배상복 기자의 우리말 산책 블로그' (blog.joins.com/bsb2001) 운영


[ 출처 ] 삼성홈페이지 원문보기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최근 작성 글
최근 작성 댓글
최근 작성 트랙백
프로필
공지사항
글 보관함
캘린더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DAY TOTAL